지속가능한 패션은 단순히 친환경 소재를 활용해 제품을 만드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롱레이블이 발매하는 컨텐츠들을 봐오신 분들은 아실 거에요. 롱레이블은 소재, 제조, 운송, 포장, 폐기 전과정에서의 지속가능성을 꼼꼼히 살펴보고 있죠. 이번 리포트에서는 더 나아가 제품을 판매하는 공간에서 환경을 위해 노력하는 부분에 대해 살펴볼게요.
물건을 판매한다는 것은 그 제품이 있고, 판매하는 공간이 있고, 그 공간의 운영을 가능하게하는 에너지를 비롯한 무수한 자원이 있음을 의미합니다. 소비자들에게 더 매력적으로 어필하기 위해서라도 브랜드들은 판매 매장의 디스플레이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게 됩니다. 그 과정에서 또 많은 에너지가 사용되고 폐기물이 배출되는 것은 당연하고요. 그렇다면 판매 과정까지도 지속가능하게 변화하는 방법이 필요하지 않을까요? 매장 인테리어에서 가장 크게 환경을 오염시키는 재료 중 하나가 도료와 광택제라고 해요.[1] 도료와 광택제를 사용한 나무 자재는 폐기 후에도 생분해가 안 되어 환경문제를 가중시키죠. 또 디스플레이 공간에 사용되는 플라스틱 소재들, 매장을 확장하고 리뉴얼할 때마다 발생하는 폐기물들도 주된 문제가 됩니다. 이러한 점들을 모두 고려해 완벽히 친환경적인 공간을 구현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을지라도 조금씩의 노력이 행해지고 있습니다. 그 방법으로는 폐기물 줄이기, 에너지 전환, 자원 순환, 기후변화 대응 등이 있어요. 디지털화도 하나의 방식으로 제안되고 있는데요, 온라인 중심 홍보, 정보제공 등을 통해 폐기물 양을 줄일 수 있는 것입니다. 하지만 디지털 전환은 에너지 사용을 증가시키므로 유의가 필요하기도 합니다.
Long Label의 콘텐츠는 회원에게 무료로 제공됩니다.
간단한 가입 과정 후 모든 콘텐츠를 자유롭게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