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입는 옷은 어디에서 만들어져서 우리에게 도착할까요? 라벨에 적힌 ‘MADE IN ○○○’에서는 세계 각국의 이름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한국 바로 옆의 중국일 수도 있고, 저 멀리 아프리카에서 출발한 옷도 있죠. 이렇게 먼 길을 여행하는 옷은 우리에게 찾아오는 동안 계속 온실가스를 배출하고 있을 거예요. 멀리서 오는 옷이 아니라 우리 가까이에서 만들어지는 옷은 없을까요? 이번 글에서는 옷이 이동하는 거리를 줄이는 제작 방식을 고민해 보기로 했어요.
어떤 옷들은 가능한 같은 지역에서 원재료를 수급하고 제작까지 이루어지도록 만들어져요. 그 지역에서 소비되기까지 한다면 더욱 좋겠죠. 이야기를 편하게 할 수 있도록 이렇게 만들어지는 옷을 ‘지역 생산 의류’라고 불러볼게요. 지역 생산 의류는 원재료를 얻어서 옷을 제작하고 유통하는 과정에서 이동 거리를 최소화하는 것을 목표로 해요. 옷을 만드는 단계별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을 줄일뿐더러 지역의 노하우를 계승하고 일자리를 창출하는 효과도 있죠. 전통적으로 만들어지는 옷은 대부분 지역 생산 방식을 활용해 왔어요. 과거에는 다른 지역에서 원료를 구해오기도 어려웠을 테니 당연한 결과일 수도 있죠. 이렇게 만드는 옷의 예시로는 한산모시나 제주의 갈옷을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한산모시는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 지역에서 만드는 모시 옷감을 가리켜요.[1] 오늘날 충청남도의 전체 모시 생산량 중 한산모시로 인증받는 것은 한산 지방의 157명이 생산하는 모시뿐이라고 해요. 모시의 원재료인 저마는 생육 환경이 까다로워서 서천과 충청도 지역, 전라도 일부에서만 재배할 수 있었어요.[2] 한산 지역은 여름 평균 기온이 높고, 해풍이 불어서 습한 특징이 있어요. 기후적 특징에 비옥한 토양이 더해져서 다른 지역에 비해 품질이 우수한 모시가 자랄 수 있었죠. 모시 옷감은 저마를 꺾어서 그 껍질을 벗긴 것을 재료로 해요.[3] 모시를 수확해서 실로 만들고, 베틀을 이용해 옷감을 짜는 과정을 거쳐 만들어지는 한산모시는 전통적으로 가내 수공업 방식으로 제작됐어요. 어머니가 딸에게, 시어머니가 며느리에게 기술과 경험을 전수하며 이어져 왔죠. 예전에는 마을의 정해진 장소에서 이웃들이 모여 모시를 짜면서 공동체를 결속시키는 역할도 했다고 해요. 지금은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되어 명인과 전수조교 간의 견습 제도를 통해 전수되거나, 모시짜기를 하는 일반 가정에서 어머니가 딸에게 전수하는 식으로 이어지고 있어요. 지역에서 생산된 모시풀을 이용해서 지역민들이 만드는 옷감인 한산모시는 지역 생산 의류의 한 사례예요.
Long Label의 콘텐츠는 회원에게 무료로 제공됩니다.
간단한 가입 과정 후 모든 콘텐츠를 자유롭게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