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랄해는 우즈베키스탄과 카자흐스탄의 접경지역에 있는 대규모의 호수입니다. 하지만 NASA에서 공개한 아랄해의 위성 사진을 보면 2000년과 비교했을 때 2015년 호수의 대부분이 사라졌다는 것을 알 수 있어요. 1960년대부터 시작된 사막화는 계속해서 진행되고 있고, 그 속도가 매우 빠르다는 걸 알 수 있어요. 현재 중앙아시아 지역의 80%는 사막과 초원지로 구성되어 있죠. 세계에서 네 번째로 큰 호수였던 아랄해는 더 이상 아름다운 물색을 내보이지도, 비옥한 토양을 제공하지도, 야생동물의 쉼터가 되어주지도 못하고 있습니다. 이 호수의 사막화는 전 세계의 패션산업과 연결되어 있어요. 아랄해의 물을 사용해 생산하는 주요 작물이 목화였기 때문이죠. 면 소재의 모든 의류의 기초가 되는 면화는 중앙아시아의 주요 생산품 중 하나인데, 국내외의 높은 수요에 맞춰 목화를 생산하기 위해 이들은 아랄해의 물을 무분별하게 사용하였습니다. 소련연방이 통치권을 갖고 있던 시기부터 시작된 이러한 자원 착취는 냉전 이후 소련연방이 붕괴한 이후에도 계속해서 이어져 왔죠. 2014년을 기준으로 아랄해 유역에서 목화를 재배하는 면적은 147만 헥타르 정도 되었습니다. 이는 여의도 면적의 1,750배에 달하는 면적인데요, 목화가 물 집약적인 작물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어마어마한 양의 물을 사용한 것이라 짐작해볼 수 있어요. 더불어 아랄해는 염분을 가진 염호였으므로 물이 마르면서 호수였던 곳이 소금 사막이 되었고, 목화재배를 위해 사용한 살충제 등 화학약품 또한 관리되지 않은 채 토양에 남아있거나 비에 휩쓸려 주변의 생태계를 파괴해 왔죠. UNDP는 이 사막화를 두고서 “가장 믿기 어려운 20세기의 재난"이라고 말하였어요.
Long Label의 콘텐츠는 회원에게 무료로 제공됩니다.
간단한 가입 과정 후 모든 콘텐츠를 자유롭게 확인해 보세요.